메타버스 둘러보기
서울광장 + 매쓰스페이스
교과 체험과 수학적 스토리로 가득한 테마공간!
서울 매쓰투어 메타버스는 서울도심을 가상으로 구현한 서울광장과 도심의 명소에서 연결되는 매쓰스페이스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울광장과 매쓰스페이스들 속에서 수학을 발견하고 수학과 친해지는 즐거운 경험을 시작해보세요!
수학 히어로와 함께하는 서울의 과거, 현재, 미래
  • 1
    경복궁
    THEME 1
    서울의 역사적인 상징인 '경복궁'을 중심으로 '수학과 예술'이라는 주제를 살펴봅니다.
    경복궁 설계 과정
    미국 듀크대학의 잉그리드 도브시 교수는 수학에 기반을 둔 '웨이블릿(Wavelet) 변환 분석'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원작 그림을 디지털 이미지로 바꿔 일부를 확대한 뒤, 물감이 칠해진 층별로 나눠 붓칠을 세밀하게 관찰합니다. 붓칠을 할 때의 '망설임'을 수치로 표현하고, 작가의 원작 그림과 비교하여 수치가 높으면 위작이라고 판단합니다. 인간의 심리적인 요소에 의해 표현되는 작은 행동의 차이를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수치화하는 기발한 기술입니다.
  • 2
    단성사
    THEME 1
    한국 최초의 영화관 '단성사'를 중심으로 '수학과 영화'라는 주제를 살펴봅니다.
    단성사 설계 과정
    2015 아카데미 과학기술상은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론 페드키우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 수학 박사인 그는 물체가 부서지는 모습을 실제처럼 구현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피스뱀 파괴 시스템 (physBAM Destruction System)'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이 기법은 영화 '해리포터', '스타워즈', '터미네이터' 등에 활용됐습니다. 페드키우 교수는 2008년에도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에서 거대한 바다 소용돌이를 표현해 아카데미 과학기술상을 수상했습니다.
  • 3
    한국거래소
    THEME 1
    대한민국 금융의 중심 여의도에 있는 '한국거래소'를 중심으로 '수학과 금융'이라는 주제를 살펴봅니다.
    한국거래소 설계 과정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는 자신이 연구한 순수수학 이론을 적용한 르네상스 테크놀로지 (Renaissance Technologies) 라는 헤지 펀드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는 복잡한 수학적 모델을 사용한 알고리즘 트레이딩으로 수익을 내며, 약 150억 달러(약14조원)의 헤지 펀드를 관리해왔습니다. 제임스 사이먼스의 자산은 약 125억 달러(약 12조원)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수학자 입니다.
  • 4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
    THEME 1
    미래 도시 서울을 비추는 'DDP'를 중심으로 '수학과 건축'이라는 주제를 살펴봅니다.
    DDP 설계 과정
    하디드는 2004년 여성 건축가로는 처음으로,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습니다. 2007년 서울동대문 DDP 공모에서 '환유의 풍경'을 주제로 한 설계안이 당선되어, 2014년 건물 내외부에 벽이 없는 유선형 건축물을 완공했습니다. 2016년에는 여성 최초로 영국왕립 건축가협회 (RIBA) 금메달을 수상했고 대표작으로는 로젠탈 현대미술센터(1998), 런던올림픽 수영장(2012), 중국 광저우 오페라 하우스(2012), 도쿄올림픽 주 경기장(2020) 등이 있습니다.